티스토리 뷰

로마의-건축물-콜로세움-원형-경기장

 

이번에는 로마 미술에 대하여 로마 미술의 특징과 실용성을 중시한 로마의 건축물, 예리하고 사실적인 표현을 앞세운 로마의 조각으로 크게 나누어 상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로마 미술의 특징과 실용성을 중시한 로마의 건축물

이탈리아 반도 작은 마을에서부터 그리스까지 정복하기에 이른 로마는 이탈리아 반도로 이주해 온 에트루리아인의 미술과 그리스 미술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로마 미술의 이상적인 미를 추구하는 형식적인 부분은 그리스 미술에 바탕을 두었고,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에트루리아의 영향이며 그들의 미술을 절충하며 융합하여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특히 조각과 건축에서 그리스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건축의 기본 형식이나 구조는 그리스 건축 양식에서 유래하였으나 이를 더 정교하게 표현하였고, 그리스의 조각을 모방 및 변형하여 자연주의적인 요소들을 가미하여 로마화 시켰습니다. 다른 문화 미술을 가져와 로마 고유의 것과 혼합하는 절충적이고 융합적인 측면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로마는 도로, 수로, 경기장, 공중목욕탕 등 다양한 공공건축물들이 건설되었는데, 로마를 대표하는 거대한 건축물로는 콜로세움 원형극장, 판테온 신전, 카라카라 황제의 목욕탕 등이 있습니다. 로마의 건축물은 거주성에 중점을 두고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 공간을 보다 충실하게 구성하였는데, 내부를 넓게 하기 위해 아치형 구조를 사용했습니다. 시내로 물을 공급해 주는 수도와 건물의 입구, 창문의 반원 모양으로 된 궁륭식 아치, 돔 스타일과 석축으로 벽을 만들고 내부 공간을 실용화한 견고한 건축 양식도 로마 건축의 특징입니다. 또한 로마 건축물에서는 로마인들의 절충적 성격을 엿볼 수 있습니다. 에트루리아와 그리스에서 사용한 아치형식과 볼트식의 건축 방식을 사용하고 그리스의 도리스, 이오니아, 코린트 3가지 양식과 에트루리아 건축에서 유래한 토스카나 건축 양식을 접목하여 발전시켰습니다. 로마의 영토 확장과 부의 축적 및 권련으로 인해 로마의 건축물은 발전할 수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로마 미술 중 건축분야의 발전이 가장 두드러졌습니다.

 

예리하고 사실적인 표현을 앞세운 로마의 조각

초기 로마 미술은 에트루리아와 그리스의 영향을 받았고 그것을 절충적으로 받아들였는데 이는 조각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로마의 조각은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는데 집중했던 그리스 조각과 달리, 실제 인물을 바탕으로 그들의 개성을 보다 사실적이고 예리하게 표현하는데 집중하였습니다. 로마 공화정 초기에는 공공을 위한 개인의 희생, 전투에서의 승리를 기리는 내용을 주로 담았으며 군인이나 사회의 지도자 이미지가 다수 제작되었습니다. 공적 인물이 갖추어야 할 지혜로움, 위엄, 미덕 등을 강조하여 표현하였고, 자연주의적이며 사실적으로 인물들을 표현하여 개성과 특정 이미지를 담아내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초상 조각은 공적 인물의 개성과 인물의 공적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는데, 당시 보이는 공적 이미지를 중시했던 로마의 사회상을 반영한 것이었습니다. 공화정 시기에는 공공 사회를 위한 목적에서 조각이 만들어졌다면, 아우구스투스 황제 이후 로마의 미술은 황제와 왕족을 위해 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며 로마의 영토가 확장되던 시기에는 전쟁 승리의 역사적 사건을 주제로 한 개선문이나 기념주를 장식하였고 그 대표적인 부조로는 티투스 황제의 개선문, 트리야누스 황제의 기념주 등을 장식한 부조가 있습니다. 이후 로마의 권력과 부가 확대되어 가며 점차 황제나 전쟁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의 초상을 담은 거대한 입상이나 기마상이 제작되었는데 로마는 세계를 정복한 로마인들의 위대함을 나타내기 위한 사실적인 표현에 집중했고 인물의 개성을 나타내면서도 이상화된 신체미를 표현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입상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기마상, 하드리아누스 황제상 등이 있습니다. 로마의 제정 후기 조각은 오히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후퇴하는 면모를 보이기도 했는데 고전적인 그리스 조각의 영향 대신 점차 경직성과 정면성, 평면성 등의 특징의 후기 고대 미술의 특성이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에서 잘 드러나며 또한 로마 말기에는 설화적 내용을 담은 부조 형식이 다수 제작되었으며 더욱 소박한 내용을 표현한 조각들이 발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