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로마네스크 미술
로마네스크는 11~12세기에 걸쳐 유럽 전역에서 발달했던 미술 양식을 뜻합니다. 처음에는 중세 유럽의 건축 양식이란 뜻으로 사용되었지만, 오늘날에는 독자적이며 뛰어난 원리를 지닌 미술 양식으로 인정받고 그 시대의 미술 양식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시대의 초기 건축 양식이 고대 로마식 건축을 응용하였기에 '로마네스크'라는 명칭으로 불렸습니다. 로마네스크 미술이 형성되고 발전하게 된 데에는 9~10세기 서양 기독교 문화를 위협했던 이교도 간의 싸움이 멈추었고 왕조가 안정되며, 종교 문화운동의 발전과 지역 간 활발한 교류, 운송력 증대의 기술적 발전이 있었습니다. 카롤링 왕조 예술의 특성과 로마, 비잔틴 및 이교도의 예술까지 받아들여 지역적으로 다른 점이 있는 다양한 문화를 통합한 새로운 양식을 이루어냈습니다.
반원 아치가 특징인 건축
로마네스크 건축은 10세기말 이후부터 1,100여 년을 여러 건축 양식으로 전성기를 이루었습니다. 로마네스크 양식은 에스파냐 북부, 독일 남부, 프랑스 남부, 이탈리아 등지에 남아 있는 수도원 건축물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로마네스크 건축은 반원 아치를 특징으로 한 건축 양식으로 당시 잦은 전쟁으로 인해 석재구조를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두꺼운 벽과 튼튼한 기둥, 둥근 아치, 그로인 볼트, 커다란 탑과 장식적인 아케이드로 널리 알려져 있고 규칙적이고 명확히 정의된 형태를 가지며 대칭적인 평면의 구조로 전체적인 외관은 단조로워 보이기도 합니다. 수도회가 창시되어 유럽 전역에 빠르게 전파되었던 10, 11세기에는 예배를 위한 새로운 건축물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하여 예배를 드릴 수 있으면서 미학적으로도 아름다운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나타낼 수 있는 건축을 만들어내기 위한 욕망이 로마네스크 양식을 만들어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교회를 하느님이 머무는 지상의 천국이라 여겨 교회건축이 미술 양식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회화나 조각은 교회 건물의 내외부를 장식하는 정도에 머물렀습니다. 건축은 기존의 목조 천장에서 야치형 석조 천장으로 바뀌고 이것을 받쳐주는 창문 없는 두꺼운 벽과 굵은 기둥이 특징이며 창이 없던 내부는 어두웠지만 한편으로는 신비하고 중후한 종교 분위기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신의 집이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건물이기를 바랐고 통일성과 음향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석조 아치형을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로마네스크 건축을 '반원 아치의 집합체'라고도 칭합니다.
조각
이 시기에는 교회를 하느님이 머무는 지상의 천국이라 여겨 교회 건축이 미술 양식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회화나 조각은 교회 건물의 내외부를 장식하는 정도에 머물렀습니다. 조각은 주로 성서에 나오는 동물이나 인물들을 교회 출입문의 좌우 기둥과 정면에 새겨 넣는 정도였습니다. 건축의 형태에 맞추어 인체가 길어지거나 몸을 꼬기도 했는데, 이는 로마네스크 특유의 데포르마시옹(대상을 의도적으로 변형하거나 확대함으로 작품의 본질을 명확히 하거나 미적 효과를 높이는 기법)으로 역동적이며 격렬한 생명감을 불어넣었습니다. 대부분 돌로 된 부조로서 교회 건물의 일부로 만들어졌는데 건축물에 종속된 조각이기는 하지만 형태적인 균형을 잡고 동시에 여러 가지 종교적 형상을 나타내어 신도들을 선교하는 효과까지 있었습니다. 로마네스크 조각은 사실성은 떨어지나 엄격성과 때때로 경직성까지 보여주고 있으며 후기에 와서는 식물이나 동물, 각종 기하학적인 모양들로 많은 조각 상식을 건축 전반에 시도하였으며 착색과 도금으로 화려한 채색을 사용하였습니다.
회화
교회의 실내에는 벽면을 거의 프레스코화로 장식하였는데 로마네스크 벽화는 신학의 내용을 의미화하고 정신적이며 영원한 아름다움을 추구한 것이 특징입니다. 교훈적인 내용이 주가 되는 프레스코, 템페라 기법의 벽화는 대담한 채색법과 힘찬 터치로 현대 미술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직선적이며 평면적이며, 중량감이 없고 그림자도 없었지만 그림 속 인물들이 입고 있는 의복의 화려한 무늬와 그림들의 장식을 보면 로마네스크 양식은 상당히 장식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강한 색채와 힘 있는 선으로 형태를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수도회의 벽화는 주로 성상화 하여 꾸몄습니다. 또한 인물을 초현실적인 분위기로 표현한 점에서 보이 듯 원근법과 명암법의 필요성을 느끼는 단계는 아니었던 것으로 덕분에 중세 미술가들은 형태나 색채를 사용함에 자유로웠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세 미술가들의 표현 방식은 현대의 추상을 지향하는 미술가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미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네상스 미술, 인간 중심의 사고를 가능하게 하다 (0) | 2023.03.31 |
---|---|
고딕 미술, 중세의 새로운 양식, 스테인드글라스 (0) | 2023.03.29 |
로마 미술의 특징과 실용성을 중시한 로마의 건축물 (0) | 2023.03.28 |
그리스 미술 시대에 따른 변화, 아르카익, 고전, 헬레니즘 (0) | 2023.03.27 |
이집트 미술 영원을 꿈꾸다, 특이하고도 아름다운 벽화 (0) | 2022.10.25 |